시험 구성
- 필기 시험
- 과목:
- 전기자기학
- 전력공학
- 전기기기
- 전자회로 및 제어공학 (전기산업기사는 제외)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문제 수: 과목당 20문항 (총 100문항)
- 시험 형태: 객관식
- 시험 시간: 과목당 30분 (총 150분)
- 합격 기준:
- 과목별 40점 이상(과락 방지)
- 전체 평균 60점 이상
- 참고: 과목당 20문항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 시 최소 8문제 이상 맞춰야 함
- 과목:
- 실기 시험
- 과목: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 시험 형태: 필답형(주관식)
- 시험 시간: 2시간 30분
- 합격 기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참고 사항
- 전기산업기사는 필기에서 제어공학(전자회로 및 제어공학)이 출제되지 않는 점만 차이
- 필기 합격 시에만 실기 응시 가능
- 두 시험 모두 합격해야 최종 자격증 취득 가능
구분 |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
난이도 | 상대적으로 높음 | 비교적 쉬움 |
시험 범위 | 필기 5과목 (제어공학 포함) / 실기 주관식 | 필기 4과목 (제어공학 제외) / 실기 주관식 |
취업 경쟁력 | 더 우수, 대기업/공기업 등 취업 시 선호도 높음 | 중소기업 및 현장 업무에 적합 |
연봉 및 초임 | 평균적으로 전기기사가 더 높음 (약 20~30만 원 차이) | 전기기사 대비 다소 낮음 |
공부 기간 | 평균 6개월 이상 | 평균 3~4개월 |
응시 자격 | 제한적 (관련 학과 졸업 또는 실무 경력 필요) | 비교적 제한 적음, 응시 자격 완화 |
합격률 | 낮음 (20~30% 내외) | 높음 (40~50% 내외) |
주요 의견 요약
- 전기기사 취득 시 장점
- 기업 채용 시 전기기사 자격증을 우대하는 경우가 많아 취업 시 유리함
- 대기업, 공기업 전기직 군에서 반드시 요구하거나 우대
- 급여 면에서 산업기사 대비 약간 높은 편
- 전기산업기사 취득 시 장점
- 비교적 시험 난이도가 낮아 빠른 취득 가능
-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 습득에 집중 가능
- 중소기업이나 현장 중심 업무에 적합
- 시험 난이도 및 합격률 관련
- 산업기사 시험이 상대적으로 쉬워 초보자나 짧은 기간 내 자격증을 원하는 사람에게 추천
- 전기기사 시험은 난도가 높아 체계적이고 충분한 공부가 필요
- 실무 적용 및 커리어 패스
- 산업기사는 현장 실무 위주, 전기기사는 설계·감리 등 전문성 높음
- 장기적으로는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이 경력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 많음
참고 내용
- “전기산업기사는 빠르게 취득해서 현장 경력을 쌓는 데 좋고, 전기기사는 취득까지 시간이 걸리지만 공기업 등 취업 문이 넓어져서 장기적으로 유리하다.”
- “처음 시작하는 사람은 산업기사부터 도전하고, 나중에 기사로 넘어가는 것이 현실적이다.”
- “급여 차이는 크지 않지만, 전기기사가 조금 더 높다. 하지만 결국 경력과 능력이 더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