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출 규모를 결정하는 3가지 기준
1. 정부 규제 기준 (DSR, LTV, DTI 등)
용어 | 설명 |
---|---|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연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 비율. 보통 30~40% 이내 권장 |
LTV (주택담보인정비율) | 주택 가격 대비 최대 대출 가능 비율. 9억 이하: 최대 70%, 9억 초과: 점진적 축소 |
DTI (총부채상환비율) | 소득 대비 기존 + 신규 대출 원리금 비율. 지금은 DSR로 통합되는 흐름 |
→ 예시: 연소득 6000만 원일 경우,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1800만~2400만 원 이내여야 함
2. 소득 & 저축 기반 자가 판단법
많은 전문가들이 DSR 외에 아래 기준도 함께 보라고 권합니다:
항목 | 안전한 기준 |
---|---|
순저축액 기반 대출 상환 | 월 저축 150만 원 → 원리금 월 120만 원 이하 |
대출 총액 | 총 자산의 30~40% 이내 |
자기자본(현금) | 전체 집값의 40~50% 확보가 바람직 |
→ **”내가 매달 실제로 저축 가능한 금액 안에서 대출 원리금을 감당 가능한가?”**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3. 심리적 허들: ‘3억 대출 공포’
- 초보 매수자들의 경우, 대출금이 3억~4억을 넘으면 불안감이 극대화됨
- 그러나 실거주 목적이고, 상환 계획이 명확하다면 3억~5억대 대출도 충분히 가능
- 금리 고정 vs 변동 여부에 따라 심리적 안정도 달라짐
✅ 실전 팁 요약
- 연소득 기준 DSR 30~35%를 지키되, 실제 대출 한도보다 **“감당 가능한 금액”**이 중요
- 월 저축액을 기반으로 월 상환액을 추정해보세요 (ex. 월 저축 150 → 원리금 120만 원 이내)
- 집값의 50% 이상은 현금 보유가 심리적으로도 안정적
- 3억 넘는 대출도 계획만 있다면 문제 없음 (전세금 활용, 부모지원, 이자 부담 계산 등)
✅ 결론
“얼마나 빌릴 수 있느냐”보다 중요한 건 “얼마나 감당 가능한가”입니다.
- 정부가 허용한 한도 = 상한선
- 내가 감당 가능한 한도 = 진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