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인지로버 보그 엔진 고장, 오버런 현상 수리 정보

최근 정비소에 레인지로버 보그 4대가 동시에 입고관 사례에 대한 정보 공유입니다.
모두 차량 검사소에서 ‘오버런’ 증상이 발생한 후 엔진 이상을 겪은 차량들이었습니다.
오늘은 이 중 한 사례를 통해, 검사소에서의 RPM 상승(오버런)이 어떤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사건 개요 – 검사소 오버런 발생

  • 차량은 정기검사를 받기 위해 검사소에 입고되었고, 검사 전 서비스센터에서 점검 후 확인증까지 발급받은 상태였습니다.
  • 하지만 검사 중 **예기치 않은 고RPM 상태(오버런)**가 발생하면서 엔진이 고장났습니다.
  • 시동은 걸리긴 했지만, 내부는 이미 심각하게 손상된 상태였습니다.

2. 오버런 시 발생한 손상 부위

  • 크랭크축(main crankshaft)커넥팅로드(bearing rod) 등 주요 회전 부품이 완전히 붙은 상태
  • 크랭크축 베어링이 전부 ‘붙음 현상’(seizure) 발생 → 오일 윤활 실패
  • 내부 확인 결과, 크랭크 저널(journal) 및 커넥팅로드 베어링 모두 스코어링(scoring, 긁힘)열에 의한 용착(융착)
  • 일부 구간은 ‘콜라 담갔다’ 표현처럼 오일슬러지와 금속 파편이 엉겨 심각한 열화가 발생함

3. 엔진 파손 원인 분석

원인설명
오버런 상태검사 중 RPM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며 고회전으로 유지됨
오일 압력 부족고RPM에서 오일이 제대로 순환되지 못해 윤활 손실 발생
윤활 실패 → 금속간 마찰크랭크축과 베어링 사이의 마찰로 금속 융착, 회전 불능 상태
2차 피해 발생블록 손상, 블로바이 가스 라인으로 오일 역류 등 동반

4. 현재 상태 및 조치

  • 엔진은 분해된 상태에서 시동을 걸어봤지만, 내부는 이미 다 손상된 상태였음
  • 배틀할 비하니(bottom half crankcase)는 완전히 마모되었으며, 커넥팅로드까지 손상이 확대
  • 결국 엔진 전면 교체 또는 블럭 단위 수리가 불가피한 상황

5. 검사 전 반드시 해야 할 것

  • 검사소 방문 전 반드시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RPM 안정성 확인 필요
  • 오버런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연료, 공기, 오일, 흡기계통 점검은 필수
  • 일부 검사소는 RPM 관리가 제대로 안 돼 엔진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 반드시 센터 점검서 지참 필수

마무리

이번 사례는 ‘정기검사 한 번 잘못 받았다가 엔진이 통째로 망가진’ 매우 안타까운 케이스입니다.
검사소에서의 오버런은 단순한 실수로 보기 어려우며, 차량의 윤활 시스템과 엔진 상태가 허용 가능 범위를 넘어서면 치명적 손상으로 이어집니다.

정비소에 오기 전에 먼저 점검을 받고, 검사소에서도 고RPM 유지가 필요한 항목에 대해 주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