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그냥 꺼짐,화면 안나옴 그래픽카드 팬 최대치로 도는 증상

컴퓨터를 하다가 갑자기 꺼진 후, 블랙스크린, 증상과 그래픽카드 팬소음이 무지막지하게 돌아가는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보통은 램 뺐다가 , 단자 청소 후, 다기 꼽아주는방법

2. 그래픽 카드 빼서 단자 청소

3. 메인보드에 찐 먼지 청소 바람으로 불어주기

기타 등등을 다해보시고, 이런증상들 외에 다른 문제점이 있는지 체크를 하는게 우선입니다.

. 저 같은 경우 어떤식으로 체크를 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래픽가 최대치의 팬소음으로 돌아가고, 화면출력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픽카드를 메인보드에 분리 후. 내장그래픽으로 화면 출력을 해보려 했지만. 역시나 내장그래픽 hdmi포트도 블랙스크린으로 아무런 증상이 없더군요,. 여기서 그래픽 카드르 뺏으니 역시나 팬 소음은 없었다는점
  2. 메인보드 “건전지”교체를 시도 해보았습니다. 2-3분 이후 건전지를 뺀 후 교체를 해주었습니다 증상을 엮시나 같았습니다

여기서 집에서 누드테스트를 하는건 여건상 좋지 않습니다. 여분의 그래픽 카드나.여분의 메인보드가 없기 때문입니다.

가장 먼저의심해 봐야하는 증상들

  1. 컴퓨터가 전원을 키면, 켜지는 속도가 현저히 느리면 켜졌다고해도, 꺼졌다 켜졌다 하는증상이 반복

이런 경우에는 보통, 램 단자 불량 또는 파워 메인 보드 불량인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파워불량으로 판정이 나서, 파워 교체를 직접했습니다.

동네 컴퓨터 가게에 들려서 수리를 맡기실 경우에는 몇가지 주의하실점이 있습니다. 보통 양심이 있는 기사분들은, 정확한 판단을 하여 문제가 된 부품만 교체를 하고, 무상as가 진행되는 부품인 경우에는, 부품을 고객에게 전가를 시키지 않습니다.

as기간이 남은 파워서플라인 경우에는, 꼭 컴퓨터 가게에 알려주고, 혹시 모를 사태를 위해서, 파워 라벨과 as가간이 적힌 표지를 사진을 찍어두는것도 방법입니다.

컴퓨터 파워서플라이 구매 가이드 — 구입 전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컴퓨터 부품을 고를 때, CPU나 그래픽카드부터 먼저 생각하게 되죠. 그런데 진짜 중요한 건, 그 모든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PSU)’입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조용히, 하지만 치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품이죠.

“파워는 맨 마지막에 고르면 된다”는 말, 절대 아니에요. 오히려 파워가 나쁘면 고가의 CPU, GPU가 전기 불안정으로 망가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파워서플라이를 구매할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할 다섯 가지 핵심 포인트를 소개해 드릴게요.


① 파워 용량은 ‘남는 게’ 안전하다

파워 용량은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력(W)입니다. 너무 적으면 고부하 작업에서 시스템이 꺼지거나, 부품이 손상될 수 있어요.

전력 계산 방법은 3가지:

  • 1. CPU와 GPU 기준 추산: 가장 간단하지만 정확도는 낮아요. 여유 있게 50~100W 더 잡는 게 좋습니다.
  • 2. 아우터비전 사이트 활용: 세부적으로 부품을 입력해 전력 추정치를 알려주지만, 100% 신뢰하긴 어려워요.
  • 3. 실사용 벤치마크 참조: 유튜브 채널(예: Hardware Nexus)이나 커뮤니티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정확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 예시: 전력 추정이 650W라면 → 최소 750W급 골라야 여유롭습니다. 고사양 게이밍·작업용이라면 850W 이상도 고려하세요.

그리고 많이 물어보시는데,
“용량 큰 파워 쓰면 전기세 많이 나오나요?” → 아닙니다.
파워는 실제 소비 전력만큼만 전기를 쓰기 때문에, 용량이 크다고 요금이 더 나오진 않아요.


② 80 PLUS 등급, 골라야 할까?

파워는 ‘에너지 효율’에 따라 등급이 나뉩니다.
브론즈 → 실버 → 골드 → 플래티넘 → 티타늄 순서죠.

이 등급은 ‘들어온 전력 중 얼마나 실제로 DC로 바꿔주는가’를 뜻하는데요.
예를 들어 80 PLUS 골드는 약 87~90%의 효율을 자랑합니다. 나머지는 열로 날아가죠.

  • 일반 사용자라면 스탠다드~골드급이면 충분합니다.
  • 하이엔드 시스템이나 24시간 구동용 서버/워크스테이션이라면 플래티넘 이상도 고려하세요.

💡 팁: 효율이 높으면 발열과 소음도 줄어듭니다.


③ 믿을 수 있는 ‘제조사’를 고르세요

아무리 좋은 스펙이라도, 제조사가 검증되지 않았다면 위험합니다.
가끔 저가 파워는 ‘표기 스펙’만 좋고, 내부 부품은 싼 걸로 채워져 있는 경우가 있어요.

국내외에서 신뢰받는 제조사 예시:

  • 가성비 브랜드: 마이크로닉스, FSP
  • 프리미엄 브랜드: 커세어, 시소닉, 슈퍼플라워, 에너맥스, EVGA, 쿨러마스터 등

그런데 한 가지 주의할 점!
같은 브랜드여도 제품 라인업마다 품질 차이가 큽니다.
예: 슈퍼플라워의 ‘LEADEX’는 상급, 하지만 보급형 모델은 다를 수 있어요.


④ 싱글레일 vs 멀티레일, 어떤 게 나을까?

파워 내부에서 전력을 분배하는 방식인데요.

  • 싱글레일: 하나의 큰 전력 라인이 전체 부품에 공급. 일반 사용자에게 추천.
  • 멀티레일: 여러 개의 전력 라인이 나눠져 있는 방식.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에서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 결론: 게이머, 크리에이터 → 싱글레일
고성능 워크스테이션이나 서버 구성 → 멀티레일도 고려


⑤ 내부 부품 퀄리티 확인법

내부 부품 품질은 외형으로 확인하기 어렵지만, 일부 정보는 제품 상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로 확인할 3가지:

  • 콘덴서 브랜드: 일본산 콘덴서(니치콘, 루비콘, 산요 등)가 가장 안정적입니다.
  • PFC 회로: 액티브 PFC(능동형 전력보정) 적용 여부
  • 보호회로: OVP, SCP, UVP 등 각종 안전 회로 탑재 여부

💡 콘덴서에 생소한 이름(예: TEAPO, CapXon)이 보인다면?
가능하면 피하세요. 마지노선은 “대만산 TEAPO” 정도.

아래 표를 보시고 본인이 지금 가지고 있는 파워가 어디 제품인지 알아보시고 필요하신분들은 구매를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제조사제품명 예시전체 무상 A/S 기간팬 A/S케이블 A/S내부 회로부 A/S쿠팡 제품 링크
마이크로닉스Classic II 풀체인지 600W 80PLUS6년6년1년~2년6년https://link.coupang.com/a/cGIgCe
잘만MegaMax 600W 80PLUS Standard6년3년1년6년https://link.coupang.com/a/cGIgJt
시소닉(Seasonic)Focus GX-750 Gold10년10년1년10년https://link.coupang.com/a/cGIgQw
FSPHYDRO G PRO 750W Gold10년5년1년10년https://link.coupang.com/a/cGIgWU
슈퍼플라워SF-600R14SE Silver5년3년1년5년https://link.coupang.com/a/cGIg1U
AntecNE650C Bronze5년3년1년5년https://link.coupang.com/a/cGIhxz
EVGASuperNOVA 750 G5 Gold10년10년1년10년https://link.coupang.com/a/cGIhGe
ASUSROG-STRIX-750G10년10년1년10년https://link.coupang.com/a/cGIhMz
Cooler MasterMWE Gold 650 V2 Full Modular5년3년1년5년https://link.coupang.com/a/cGIiqt
ThermaltakeToughpower GF1 650W Gold10년5년1년10년https://link.coupang.com/a/cGIhWA

as진행은 제조사마다 각각 다르며, as제조연일이 써있는 위치 또한 제품마다 다릅니다. 주의사항으로는 파워 분리시.라벨이나 봉인실같은걸 때시면 무상 as진행이 불가하므로 주의를 하시는게 좋습니다.